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전셋집에 불났을 때 보험 처리는? 만약 세입자의 실수로 전셋집에 불이 났을 때 보험처리는 어떻게 할까요? 현재 16층 이상 고층 아파트는 화재보험법에 따라 단체 화재보험에 무조건 가입해야 하고, 15층 이하 아파트도 대부분 가입되어 있습니다. 단체보험의 형태로 화재보험에 가입한 집은 1000만 가구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아파트 전세나 월세에 살고 있다면 관리비를 세입자가 내는 만큼 화재보험료도 세입자 부담입니다. 하지만 막상 전셋집에 불이 나면 세입자는 보상은커녕 덤터기를 쓸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유인 즉 약관상 임차인은 계약자(보험료 내는 사람)도 아니고, 피보험자(보험금을 받는 사람)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세입자는 바로 '제삼자'로 분류됩니다. 대법원 판례등에 따르면 화재보험 계약의 피보험자는 집주인으로, 세입자는 보험료를 냈더라도 .. 더보기
글로벌 기업들의 페이스북 보이콧 글로벌 기업들이 소셜미디어 광고를 중단하는 현상이 좀처럼 사그라질 조짐이 보이지 않습니다.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페이스북을 압박하는 기업은 160곳을 넘어섰으며 보이콧 운동을 주도한 미국 시민단체들은 유럽 등 전 세계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이 캠페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보이콧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종차별 반대 시위관련 게시글에 대해 페이스북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아 "이익을 위해 혐오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 여론이 일던 상황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페이스북 마크 저커버그 최고 경영자는 직원들과의 온라인 대화에서 "게시물이 폭력을 선동한다고 인정되면 누구의 말이든 삭제할 것"이라며 "플랫폼을 건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매년 수십억달러를 투자하며, 인공지능이 혐오표현을 9.. 더보기
2020 하반기에 달라지는 세제, 부동산관련 소식 1. 승용차 개소세 30% 인하 승용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인하가 7월 초부터 연말까지 이어집니다. 단, 70%였던 인하율은 7월부터는 30%로 낮아집니다. 대신에 교육세, 부가가치세 등을 합쳐 143만 원이던 감면 한도는 없어져 고가 차량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집니다. 예로 출고가 2857만 원인 차량은 61만 5000원에서 143만 원으로, 출고가 8000만 원인 차는 429만 원에서 400만 4000원이 됩니다. 2. 영세 사업자 부가세 감면 올해 매출이 4800만 원에서 8000만 원인 소규모 개인사업자의 부가가치세가 지금의 5~30%로 줄어듭니다. 정부가 매출 4800만 원 이하 간이과세 사업자에게 주던 부가세 감면 혜택을 올해 한시적으로 8000만 원까지 넓히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연 매출이 480.. 더보기
617부동산 대책에 대한 생각 17일 발표된 부동산 대책에 놀란 가슴이 진정되지도 않았는데, 21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갭 투자가 시장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에는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617대책으로 모든 정책 수단을 소진한 것은 아니다" 라는 경고를 하였습니다. 617부동산 대책 후 전세자금 대출 문턱을 크게 높인 바람에 실수요자들 사이에서는무주택자는 영원히 월세나 전세로만 살라는 것이냐는 원성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전셋값이 상승한 것은 현 정부 들어 주택 공급이 쪼그라들고 시중에 부동자금은 넘쳐나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현상입니다. 공급을 확대해도 모자랄 판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재건축 아파트 2년 거주 의무화'같은 고강도 규제를 내놓고 이에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세놨던 재건축 아파트 주민들이 입주하면서 전세매.. 더보기
SK바이오팜 얼마나 갈까요? SK바이오팜의 청약증거금에 몰린 금액은 31조 원이었습니다. 상당한 인기를 자랑했군요..ㅎㅎ 저는 경쟁률 보고 살며시 접었습니다만..ㅋ 상장 당일(2일) 오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는 '동시 호가'시간입니다. 동시 호가에 따라 시초가가 정해지고 시초가는 공모가의 90~200% 선입니다. 공모가가 4만 9000원인 SK바이오팜은 동시 호가에서 최대 9만 8000원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상한선에 거래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누가 팔라고 할는지요?ㅋㅋ 매도 물량이 적어 거의 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합니다. 저 같아도 팔고 싶지 않을 것 같은데요?ㅋ 일단 장이 열리면 변동폭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동시 호가 때 매도 물량을 쏟아낼 이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하.. 더보기
2020년 상반기 주식시장 5대 이슈 여러분~ 벌써 6월이 끝났습니다~~..ㅠㅠ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경제활동을 잠시 접었던 탓인지 올해 상반기는 무척이나 빠르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지요?? 상반기에는 주식시장에서 어떤 이슈들이 있는지 정리해봅니다. 반기 정리? 라 이름 붙이고 싶네요..ㅎㅎ 1. 롤러코스터 위 사진에서 보이듯 코스피지수는 2월 14일 2243.59에서 내려앉기 시작하여 3월 19일 1457.64로 35.03% 폭락하고 다시 6월 10일 2195.69로 회복되었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 때는 하락을 시작한 뒤 저점까지 292일 걸렸고, 저점 대비 30% 오르며 추세적 상승이 이어지기까지 99일 소요되었다고 합니다. 코스피 지수의 회복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돋보였다고 합니다. 2. 동학 개미 올해 상반기 외국.. 더보기
[서평]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2 가치투자를 위한 펀더멘털의 이해 1. EPS는 주당 순이익을 발한다. - 위의 사진을 보면 네이버의 EPS는 3,873원으로서 277,000원짜리 네이버 주식 1주는 일 년에 3,873원을 벌어들이고 있는 것이다. 2. BPS는 주식 1주당 자산이라는 의미이다. - 위 사진의 네이버의 BPS는 45,682원이다. 1주당 277,000원짜리 네이버를 청산할 경우 주주는 1주당 45,682원을 받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3. PER는 1주당 돈을 얼마나 버는지를 설명한다. - 위의 사진을 보면 네이버의 PER은 71.26배이다. 이것은 업종 PER 171.29보다는 저평가 상태로 볼 수도 있고, 수익창출력과 비교해본다면 본전이 되기까지 71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다소 고평가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 PER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