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상식공부] 금리는 왜 움직일까요? 우리는 주로 은행을 통해 대출을 실행합니다. 그럼 은행은 어디에서 돈을 빌려오는 걸까요? 바로 한국은행으로부터 이자를 내고 돈을 빌려옵니다. 한국은행에서 빌린 돈을 다시 우리에게 빌려주는 것입니다. 이때는 은행이 한국은행에서 빌려올 때 지불했던 이자보다 더 많은 이자를 우리에게 받으려고 하겠지요? 세상에 공짜는 없으니까 말입니다.ㅎㅎ 그래서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낮추면 은행이 조금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했으니 우리에게 대출할 때도 대출금리를 낮추어서 빌려줄 테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대출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한국은행은 언제 금리를 올리고, 언제 금리를 내릴까요? 금리와 나는 별로 상관없다고 생각하시고 계시다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금리는 재테크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자산 시장.. 더보기 [경제상식공부] ETF를 자세하게 알아보자! 펀드와 ETF용어가 아직 낯선 분들이 계신가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ETF의 기다란 이름을 어떻게 읽는 건지에 대해 말씀드렸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 더 ETF를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해요. EFT이름 해석법은 제 예전 포스팅을 한번 읽어주세용~^^ [경제상식공부] 펀드의 종류와 ETF 이름 해석하기 [경제상식공부] 펀드의 종류와 ETF 이름 해석하기 저금리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은행이 예금, 적금 상품만 가지고 운용하기에는 너무 수익이 낮습니다. 그래서 다른 금융상품들을 찾아보게 되는데요, 이때 자주 눈에 띄는 상품들이 주식과 펀드 가 아닐까 합니다.. strongluna.tistory.com 다시한번 EFF를 정의하자면요, E = Exchnge T = Traded F = Fund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해.. 더보기 [서평] 포노 사피엔스 -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저는 아이에게 책을 읽는 것으로 5분~30분 (책의 두께..ㅋㅋ)의 핸드폰 사용시간을 벌게 하고, 집안일을 도와준다거나 잘한 일이 있을 때마다 몇십 분의 보너스도 지급하면서 나름의 계획으로 핸드폰사용시간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정답일지 아닐지는 잘 모르겠네요^^ 아이 입장에서는 모르긴 몰라도 답답하겠지요?ㅋ 어느 시대 사람이냐고 할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SNS는 멀리하려고 합니다. 트위터, 인스타그램은 해본적이 없습니다. ㅋ 유튜브는 봅니다만 그리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는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은 것 같은 건 저의 느낌일까요?ㅋ 유튜브 영상도 처음에는 정보 얻으러 갔다가 나중에는 엉뚱한 영상으로 끝나더군요. 역시 뇌는 본능적입니다.ㅎㅎ 아이와 핸드폰 시간으로 다툼도 많았.. 더보기 [서평] 돈을 아는 아이는 꾸는 꿈이 다르다 -은밀하고 위대하게 이루어지는 초딩들의 돈 공부 경제공부, 금융공부 좋아하시나요?ㅋ 공부라고 하면 굉장히 동 떨어져 있고.. 그냥 단어만 들어도 하기 싫어지지만, '경제나 금융'을 모르는 것은 생존과 직결되어있는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요. 저는 경제공부, 금융공부 ( 어려운 말) = 돈 공부 ( 쉬운 말)라고 생각해요. 학교에서 배운 국영수사과 말고 돈을 배우는 과목은 왜 없었을까요? 저도 부모가 되고, 나의 노후는 물론 내 아이의 앞날도 걱정하고 준비해야 하는 위치가 되면서 돈 공부에 관심이 커지게 되었어요. 엄마 아빠랑 같이 살 때는 뭐가 뭔지도 모르고 나이만 먹은 철부지 금융 꼬맹이었다고나 할까요..ㅋ 부모가 되고 나서 금융을 알고 경제공부를 시작했다는 건 너무 늦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젊은 나이에 시작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후회도 있.. 더보기 장기투자 시작하는 법 ( feat. 행동장치 걸어두기 )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좋다는 거 누구나 잘 알고 있어요. 젊어서부터 투자해서 복리도 효과도 보고, 금융 감각을 키우는 게 좋다는 건 알겠는데.. 어떻게 시작 해야할 지 아직 감이 서지 않을 분들을 위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행동장치를 걸어두는 방법을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장기투자를 외면하고 싶으신 분은 저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어 뇌의 속임에 빠지지 마시고 저랑 같이 장기 투자하면서 노후를 준비해보아요~^^ '투자'라는 것이 누가 강제로 시키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느낀 후에 비로소 시작되고,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큰 만큼 장기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많이 흔들리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이 돈 모아 봤자 얼마 된다고.! 나는 지금의 행복을 위해 오늘을 멋지게 사는 거야!! 나는 욜로(YOL.. 더보기 장기투자는 왜 어려울까? ( feat.'의도적 눈감기') 여러분~ 앞으로 나의 미래를 위해 '투자' 하고 계시나요? 저는 경제, 투자에 대한 지식이 너무나도 짧아서 투자 관련해서 여러 방면으로 공부도 해보고 책도 읽어보고, 유튜브 영상도 찾아서 들어보려고 나름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명 돌깨기 기술을 시전하고 있습지요..ㅋㅋ 무엇이든 잘 알기 전에는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고, 어렵고, 공부하려고 덤볐다가 하기 싫어서 넘겨버리고... 꼭 시험공부하기 전의 수험생처럼 경제 투자 공부는 하기 싫고 집안일이 재밌어지고.. 유튜브 연관 영상에 막 클릭이 하고 싶고.. 그래요..ㅋㅋㅋ 이런 현상은 저만이 아니라 많이 이들이 겪는 흔한 내적 갈등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ㅋ 이런 현상은 의도적 눈감기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하네요. '의도적 눈감기 ( Wilful Bl.. 더보기 [경제상식공부] 금리의 뜻과 기준금리란? 금리라는 말은 참 많이 들어보셨을꺼에요. 금리가 올랐네 금리가 내렸네 기준금리를 한국은행에서 몇%포인트 내렸네...등등등 여기서 금리란 무엇일까요? 먼저 금리의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금리의 뜻' 은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를 말합니다. 은행에 우리가 돈을 맡겼을때 얻게 되는 어떤 혜택, 이것이 바로 금의 이자 '금리'입니다. 금리의 뜻은 한자만 풀이해도 잘 알 수있겠지요?^^ 2000년대만 해도 금리7%의 예적금 상품에 '저금리상품'이라는 꼬리표가 달렸다고 하네요. 하지만 0.75%의 초저금리시대를 살고있는 우리에게는 꿈같은 수익률을 안겨다 주는 상품이 아닐까요? 이런 상품있으면 얼른 가입하고 싶네요. 완판예정입니다요ㅋ 그렇다면 이 금리는 누가 정하는 것일까요? 금리는 중앙은행에서 정해요.. 더보기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5 다음